top of page
교장선생님.jpg
2021, 교장 이은애

안녕하십니까. 맥클린 한국학교 교장, 이은애입니다.

2002년 개교하여 현재 북버지니아 맥클린의 한국 언어/역사/문화 교육기관의 중심으로 자리잡은 맥클린 한국학교는 우리 2세 아이들을 위한 보다 전문적인 한국학교로서의 발전을 위해 항상 온마음과 열정을 다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즐거운 배움이 있어 매 주 오고싶은 재미있고 신나는 학교, 
교사의 따뜻한 사랑과 열정이 함께 하는 학교, 
학부모의 지지와 믿음이 가득한 학교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맥클린 한국학교는 우리의 보물같은 2세 아이들이 장차 한국과 미국을 이끌어나갈 리더로 자랄 수 있도록 옆에서 보조하고 교육하기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맥클린 한국학교가 지역사회의 교육 공동체의 중심에서 따뜻한 보금자리가 될 수 있도록 많은 응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1년 10월 9일, 한글날 575돌을 맞아 한글에 담긴 세종대왕의 위대한 마음을 기리며,
지난 일간지에 실린 이은애 교장의 칼럼을 게제합니다.

세종대왕의 정신과 한글의 완성

한글은 세종대왕이 즉위 25년째인 1443년 음력 12월 30일 창제를 마치고 그 글의 이름을 훈민정음(訓民正音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글)이라고 한데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세상에 비슷한 예도 찾을 수 없는전혀 새로운 모양의 글자이다 보니가르치고 보급할 길이 없어 신숙주, 정인지 등 집현전 소장학자들을 시켜 역설적으로 한문으로 그 발음과 사용법을 해설한 훈민정음 해례(解例)라는 해설서를 완성하고 우리글임을 공식 반포한 날이 3년 뒤인1446년 음력9월 29일(양력 10월 9일)이었다. 훈민정음은 반포 후 한동안 언문(諺文)이라는 속칭으로 불리어 진 바 있다.

 

“한글”이라는 명칭은 한말 최초의 국어 학자인 주시경선생이 “큰 나라의 글"이라는 뜻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한글날은 반포일을 기준으로  올해로 573주년이 된다. 

 

한글의 특징과 우수성을 되짚어 보면 첫째, 한글은 체계상 한 글자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글이어서 글자마다 뜻을 갖는 뜻글인 한자와는 달리 단지 24자로 모든 표현을 할 수 있는 필요 충분한 단순성이 있다. 둘째, 글자의 조합과 발성이 지극히 과학적이고 규칙적이어서 예외가 없으므로 간단하고 배우기 쉽다. 셋째, 불과 24자의 소리글 이면서도 두자 이상을 모아  “나무” 처럼 뜻을 갖는 뜻글의 영역을 충분히 감당한다. 넷째, 한글은 그 획이 단순 간단하며 쓰기 속도가 압도적으로 빨라 오늘 날과 같은 IT 환경에 적합성이 뛰어나다.

 

결과적으로 훈민정음은 만든 이, 만든 이유, 만든 때, 발성의 원리가 명확하게 기록되어 알려진 세계유일의 가장 우수한 문자임이 인정되어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으로 지정 받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날 우리는 자랑스러운 우리 고유 문자 한글을 바르게 사용하지 못하여, 세종대왕의 숭고한 한글창제의 뜻을 욕되게 하고 있다.  글을 가르치는 이들의 뼈저린 각성이 요구되는 이유이다.

 

지난  한 일간지에 “한국IT세대들이 카톡,SNS등 문자 보내기 속도전 때문에 줄임말, 부호화로 언어 파괴 현상이 극에 달하며 문법이 실종되고 부모 자식 세대 간 소통이 되지 않는 지경에 이르렀다”라는 기사가 있었다. 참으로 한심스러운 퇴행이다.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에 스며있는 참 뜻을 되새겨 보면, 훈민정음은 지금까지의 교육처럼 세종과 집현전 학사들의 공동창제가 아니고 최만리, 정창손, 신석조 등 한문사용 특권의식에 젖은 집현전 노장학자들의 반대가 분명 있을 것이 라고확신하기에 세종이 비밀리에 단독 창제를 하였음이 세종실록으로 밝혀지고 있다. 단독 창제 후, 사용법을 해설한 훈민정음 해례본을 순종적인 집현전의 신숙주, 정인지, 성삼문 등 소장학사들에게 편집을 하게 한 것이 잘 못 와전된 것이다.

 

그러면, 세종은 왜 그토록 어려운 창제의 과정과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기어이 훈민정음을 반포 시행하려고 했을까? 그 답을 세종이 스스로 쓴 훈민정음 서문에 명확히 밝히고 있다.

“나라 말씀이 중국과 달라 서로 상통되지 않아 불쌍한 백성들이 하고자 하는 말이 있어도 끝내 그 뜻을 전 할 수 없으니 내 이를 딱하게 여겨 새로 스믈 여덟 글자를 만드노니…….”세종의 마음은 특권층이 아닌 국민 대중을 향하여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세종의 한글 창제 결심의 근원적 동기는 창제 15년 전인 세종 10년 진주사람 김화가 아버지를 살부(殺父)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9월 27일, 이 충격적인 사건을 보고 받은 세종은 “내가 덕이 없는 까닭이로다"스스로 책임을 떠안으며 통탄한다. 그리고는 그 대책으로 형벌을 강화하는 대신 덕치를 택하여 충신, 효자, 열녀의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쉬운 글자가 없어 한문 설명을 곁들인 “삼강행실도”라는 도덕 교본을 발행한다. 여기서 무식한 상민들에게는 무용지물인 한문설명의 모순의 해결 방안으로 배우고 쓰기 쉬운 우리글의 창제를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처벌 위주보다는 교육계몽을 택한 세종대왕의 탁월한 정책을 보게 된다.

 

이로서 우리 한글에는 힘없는 국민 대중을 지극히 사랑한 세종대왕의 인간애와 10년 창제의 고뇌, 그리고 남을 원망하지 않고 자신의 부덕을 책임지며, 교육교화를 통하여 바르고 편한 세상을 추구한 위대한 성군 세종의 숭고한 이념을 보게된다.

 

따라서 진정한 한글교육의 완성은 잘 읽고 잘 쓰는 한계를 넘어 책임은 자기에게 돌리며 사랑은 남에게 베풀어 편하고 바른 세상을 꿈꾼 위대한 성군 세종의 이념을 실현하는데 있다 할 것이다.

맥클린 한국학교 교장, 이은애

bottom of page